현재는 Crayon Syntax Highlighter를 사용중입니다.
kukie.net에서는 Syntax Highlighter로 Code Highlight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Geshi(Generic Syntax Highlighter)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code안쪽에 한글로 주석을 달면 자꾸 한글이 깨지길래 encoding때문에 그런가 싶어서 사용하고 있는 서버에서 파일을 받아서 utf-8 변환한 다음에 다시 올리고 났더니.. wp login에서부터 에러가 나버리길래 지워버렸습니다; (귀차니즘이 한몫; )
하도 삽질을 해대서 hooney님이 이런 글까지 써주셨는데..
아무리 해도 해결이 되지 않아서 결국엔 처음에 사용하려고 했던 Code Highliter를 활성화 시켰습니다.
Geshi처럼 다양한 느낌은 없지만 Code higlighter도 쓸만합니다~ 사용하기도 간편하고..
사용방법은, 해당 문서안에 다음과 같이 적어주면 됩니다.[ code ]들어갈 코드 [ /code]
다음과 같은 lang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cpp, css, diff, dtd, java, javascript, mysql, perl, php, python, ruby, sql,xml (html은 xml에 속함)
plugin을 activate시키고 그냥 code만 쓰면 pre와 똑같이 보이는데 Code Higlighter에 같이 들어있던 CSS를 적용시켜주면 색색으로 예쁘게 나옵니다.
코드를 둘러 싼 둥근 네모도 조절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입맛에 맞게 CSS를 만지면 되겠습니다.
사용 예제 보기
저는 제작자가 배포한 초기값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신 댓글